맨위로가기

제난 라돈치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난 라돈치치는 몬테네그로 출신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FK 구시니예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FK 루다르, FK 파르티잔을 거쳐 2004년 인천 유나이티드에 입단하며 K리그에 데뷔했다. 이후 반포레 고후, 성남 일화 천마, 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미즈 에스펄스, 오미야 아르디자, 오이타 트리니타 등 여러 팀에서 뛰었다. 2006년 K리그 올스타전 MVP를 수상했으며, 성남 소속으로 2010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2011년 FA컵 우승을 경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에 거주한 몬테네그로인 - 젤코 페트로비치
    젤코 페트로비치는 몬테네그로 출신으로 선수 시절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대표 축구 선수로 활동하며 1998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고, 은퇴 후에는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감독으로 활동하며 2023-24 시즌에는 보스니아 컵 우승을 차지했다.
  • 일본에 거주한 몬테네그로인 - 이고르 부르자노비치
    이고르 부르자노비치는 몬테네그로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과 여러 클럽에서 공격수로 활약하며 2006년 UEFA U-21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U-2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대표팀의 3위를 이끌었다.
제난 라돈치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제난 라돈치치
원어 이름Џенан Радончић (키릴 문자)
로마자 표기Dženan Radončić
별칭제니
출생일1983년 8월 2일
출생지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구시니예
192cm
포지션공격수
선수 경력
유소년 클럽FK 구시니예
클럽 경력2002–2003: FK 루다르 플레블라 (18경기 5골)
2003: FK 파르티잔 (4경기 0골)
2004–2008: 인천 유나이티드 FC (92경기 21골)
2007 (임대): 반포레 고후 (9경기 1골)
2009–2011: 성남 일화 천마 (59경기 18골)
2012–2013: 수원 삼성 블루윙즈 (43경기 16골)
2013 (임대): 시미즈 에스펄스 (15경기 6골)
2014: 오미야 아르디자 (8경기 0골)
2014: 오이타 트리니타 (7경기 4골)
2015: 모르나르 (5경기 0골)
총 출전/골260경기 71골
지도자 경력
지도자 경력2021–2022: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
2021–2022: 인도네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
2021–2022: 인도네시아 U-20 축구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
2022: 인도네시아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대행)

2. 클럽 경력

2003년 6월, 라돈치치는 루다르 플레블라에서 파르티잔으로 4년 계약을 통해 이적했다.[1] 그는 리그 4경기에만 출전했지만, 마르세유와의 1-1 홈 경기에서 교체 선수로 UEFA 챔피언스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하지만 파르티잔에 합류한 지 반 년 만에 라돈치치는 극동으로 건너가 새로 창단된 K리그 클럽 인천 유나이티드에 합류했다. 그는 2005년 유나이티드의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결승 진출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박이천 임시 감독과의 불화로 인해 라돈치치는 2007 시즌 동안 J리그의 벤포레 고후로 임대되었다. 그는 2008년에 인천으로 돌아와 팀 내 최다 득점자(13골)가 되었다.

2009년 1월, 라돈치치는 K리그 라이벌 성남 일화 천마(현 성남 FC)로 이적했다. 그는 2010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한 팀의 주전 멤버였지만, 경고 누적으로 인해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했다.

2011년 12월, 라돈치치는 K리그의 또 다른 팀인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3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2013년 8월 J리그 클럽 시미즈 S-펄스로 임대되었다.

2007년 7월에는 J리그의 반포레 고후로 임대 이적했지만, 시즌 막바지였던 탓에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했고, 팀은 J2로 강등되었다. 다음 해인 2008년에 친정팀인 인천으로 복귀했다. 같은 해 JOMO컵 한일 올스타전에서 K리그 선발로 방일하여, J리그 선발팀을 상대로 골을 넣었다.

2013년 8월, 시미즈 에스펄스로 임대 이적[8]했다. 리그전 15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

2014년에는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했다. 그러나 6월 1일까지의 공식전 11경기에서 무득점에 그치며 결과를 내지 못했다. 이후 오미야가 드라간 믈르자를 영입하면서 외국인 선수 쿼터 초과로 인해, 7월 8일 오이타 트리니타로 완전 이적이 발표되었다[9]。11월 13일, 무릎 수술로 인해 시즌 종료 전에 팀을 떠났다[10]

2. 1. FK 구신예

제난 라돈치치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3부 리그 클럽이던 FK 구시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두 시즌 동안 43경기에서 22골을 넣었다.[1] 2000년부터 고향 팀인 FK 구시니예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 2. FK 루다르

2003년 6월, 라돈치치는 루다르 플레블라에서 파르티잔으로 4년 계약을 통해 이적했다.[1] 그는 리그 4경기에만 출전했지만, 마르세유와의 1-1 홈 경기에서 교체 선수로 UEFA 챔피언스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2000년부터 고향 팀인 FK 구시니예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6] 2003년에는 유고슬라비아의 명문 파르티잔 베오그라드로 이적했다.[6]

2. 3. FK 파르티잔

2003년 6월, 라돈치치는 루다르 플레블라에서 파르티잔으로 4년 계약을 통해 이적했다.[1] 리그 4경기에만 출전했지만, 마르세유와의 1-1 홈 경기에서 교체 선수로 UEFA 챔피언스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파르티잔에 합류한 지 반 년 만에 인천 유나이티드에 합류했다.

2. 4. 인천 유나이티드 FC

2004년 인천 유나이티드의 창단 멤버로 K리그에 처음 발을 디뎠다.[1] 2004년 2월 4일, 시즌 전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팀 젤레즌을 상대로 헤트트릭을 기록하며 6-1 대승을 이끌었고,[1] 3월 1일 창단식 후 감바 오사카와의 친선 경기에서 전반 10분 팀의 두 번째 골을 넣으며 4-0 승리를 이끌었다. 그러나 2004 시즌 13경기 동안 골을 기록하지 못하다가, 2005년 4월 17일 서울과의 경기에서 데뷔골을 포함해 멀티골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2005 시즌에는 22경기 9골(리그 득점 6위), 하우젠 컵에서는 5경기 4골을 기록했다. 2006 시즌에는 10월 22일 울산 현대 호랑이전에서 단 한 골을 넣는 데 그쳤다. 2007 시즌에는 데얀 다먀노비치의 합류로 주전에서 밀려났고, 2007년 7월 J리그 반포레 고후로 임대되었다가 시즌 후 복귀했다.[11]

인천 복귀 후 재계약이 늦춰지며 이적설이 돌았으나, 2008 시즌 개막전 제주 유나이티드전에서 골을 기록하고, 전남 드래곤즈와의 홈 2라운드에서는 경기 시작 41초 만에 선제 결승골을 넣었다.[12] 2008 시즌 총 26경기 13골(리그 득점 3위)을 기록한 후, 대한민국 귀화 및 국가대표팀 발탁 의사를 밝혔다.[13]

2. 5. 성남 일화 천마

2009년 1월, 라돈치치는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였다.[14] 첫 시즌에 리그 전 경기에 출전해 5골을 넣으며 큰 활약을 보이지 못하는 듯 싶었으나 2010 시즌엔 12골 6도움을 기록하였고 팀의 2010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기여하였다.[14] 2011 K리그에선 시즌 개막 직전에 당한 부상으로 오랜 기간 결장하였고 시즌 중반 이후에 복귀하여 정규 리그 10경기 3골을 기록하였다. 2010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한 팀의 주전 멤버였지만, 경고 누적으로 인해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했다.

2. 6.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1년 12월 8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라돈치치의 영입을 공식 발표하였고, 동시에 라돈치치의 귀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선언하였다. 2013년 8월, 시미즈 에스펄스로 임대 이적하여[8] 리그전 15경기에 출전, 6골을 기록했다.

2. 7. 시미즈 에스펄스

제난 라돈치치는 2013년 8월 J리그 클럽 시미즈 에스펄스로 임대되었다.[8] 알비렉스 니가타와의 19라운드 경기에서 1골을 기록했고, 쇼난 벨마레와의 20라운드 홈경기에서 2골을 넣어 팀의 3-1 승리에 공헌하며 2경기 연속골을 기록했다. 리그전 15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

2. 8. 오미야 아르디자

2014년 1월 21일 시미즈 에스펄스에서 임대 생활 중 많은 활약을 보인 것을 바탕으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오미야 아르디자로 완전 이적하였다.[9] 그러나 6월 1일까지 공식전 11경기에서 무득점에 그쳤다.[9] 이후 오미야가 드라간 믈르자를 영입하면서 외국인 선수 쿼터 초과로 7월 8일 오이타 트리니타로 완전 이적하게 되었고, [9] 11월 13일, 무릎 수술로 인해 시즌 종료 전에 팀을 떠났다.[10]

2. 9. 오이타 트리니타

2014년, 제난 라돈치치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했다. 그러나 6월 1일까지 공식전 11경기에서 무득점에 그쳤다. 이후 오미야가 드라간 믈르자를 영입하면서 외국인 선수 쿼터가 초과되어, 7월 8일 오이타 트리니타로 완전 이적했다.[9] 11월 13일, 무릎 수술로 인해 시즌 종료 전에 팀을 떠났다.[10]

2. 10. FK 모르나르

2003년 6월, 루다르 플레블라에서 파르티잔으로 4년 계약을 통해 이적했다.[1] 파르티잔에 합류한 지 반 년 만에, K리그 클럽 인천 유나이티드에 합류했다.

3. 국가대표 경력

제난 라돈치치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U-19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동했다.

4. 플레이 스타일

5. 수상 경력


; 성남 일화 천마[2]

  • AFC 챔피언스 리그: 2010
  • FA컵: 2011

5. 1. 클럽

클럽시즌리그국내 컵리그 컵대륙 대회통산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FK 구신예2000-01--
2001-02--
FK 루다르2002-03189--
FK 파르티잔2003-0440-
인천 유나이티드20041300030-160
20052292154-2914
20062313081-342
20071111051-172
반포레 고후20079100--91
인천 유나이티드200826130061-2914
성남 일화 천마20092855240-377
2010271230411064419
201110300203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23112003112
201312400124
시미즈 에스펄스2013---------
오미야 아르디자2014---------
통산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



제난 라돈치치는 FK 구신예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FK 루다르 플레블라, FK 파르티잔을 거쳐 대한민국인천 유나이티드에 입단했다.[2] 2007년 일본의 반포레 고후로 이적하였으나, 2008년 다시 인천으로 복귀하였다.[2] 이후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여 2010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과 2011 FA컵 우승에 기여했다.[2] 2012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으며, 2013년에는 시미즈 에스펄스오미야 아르디자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5. 2. 개인

제난 라돈치치는 2006년 K리그 올스타전 최우수선수로 선정되었다.[2] 성남 일화 천마 소속으로 2010년 AFC 챔피언스 리그[2]와 2011년 FA컵 우승을 차지했다.[2]

6. 기록

6. 1. 클럽 기록

2014년 4월 22일 기준, 제난 라돈치치는 선수 경력 동안 여러 클럽에서 활동했다.

클럽시즌리그국내 컵리그 컵대륙 대회통산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FK 구신예2000-01--
2001-02--
FK 루다르2002-03189--
FK 파르티잔2003-0440-
인천 유나이티드20041300030-160
20052292154-2914
20062313081-342
20071111051-172
반포레 고후20079100--91
인천 유나이티드200826130061-2914
성남 일화 천마20092855240-377
2010271230411064419
201110300203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23112003112
201312400124
시미즈 에스펄스2013---------
오미야 아르디자2014---------
통산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style="background: #DCDCDC"|



2002-03 시즌 FK 루다르에서 18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기록했다. 2003-04 시즌에는 FK 파르티잔으로 이적하여 4경기에 출전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인천 유나이티드에서 뛰면서 K리그 통산 95경기 24골, 리그컵 27경기 7골을 기록했다. 2007년에는 반포레 고후로 임대되어 J1리그 9경기에 출전해 1골을 기록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성남 일화 천마에서 활약하며 K리그 통산 65경기 20골, 리그컵 14경기 3골,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10경기 6골을 기록했다.

2012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여 2013년까지 K리그 통산 43경기 16골을 기록했다.

2013년 시미즈 에스펄스로 임대 이적 후, 오미야 아르디자로 완전 이적하였다.

J1리그 첫 출장은 2007년8월 25일 제22절 주빌로 이와타전 (야마하 스타디움)이며, 첫 득점은 2007년9월 2일 제24절 오이타 트리니타전 (규슈 석유 돔)이다. J2리그 첫 출장 및 득점은 2014년7월 20일 제22절 콘사돌레 삿포로전(삿포로 돔)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artizan doveo napadača Rudara https://www.b92.net/[...] b92.net 2003-06-12
[2] Soccerway dzenan-radoncic/27045
[3] 웹사이트 라돈치치 https://portal.kleag[...] 2023-11-04
[4] 웹사이트 ラドンチッチ https://data.j-leagu[...] 2023-11-04
[5] 간행물 Shin Tae-yong Sodorkan Tiga Nama Asisten Pelatih https://www.pssi.org[...] 인도네시아サッカー協会 2021-08-26
[6] 뉴스 【JOMO CUP 2008】プレースタイル、愛称、ちょっとしたエピソードなどなど…。K-ALLSTARSのメンバーを徹底紹介! http://www.jsgoal.jp[...] J's Goal 2008-07-25
[7] 뉴스 【AFCチャンピオンズリーグ2010 城南 vs G大阪】プレビュー:ガンバが挑む二度目のラウンド16の舞台。得意の『アウェイ』戦を制し、決勝ラウンドへ! http://www.jsgoal.jp[...] J's Goal 2010-05-10
[8] 뉴스 ラドンチッチ選手(水原三星/韓国Kリーグ) 期限付き移籍にて加入のお知らせ http://www.s-pulse.c[...] 清水エスパルス公式サイト 2013-07-31
[9] 뉴스 ラドンチッチ選手 大宮アルディージャより完全移籍加入のお知らせ http://www.oita-trin[...] 大分トリニータ公式サイト 2014-07-08
[10] 뉴스 ラドンチッチ選手 退団のお知らせ http://www.oita-trin[...] 大分トリニータ公式サイト 2014-11-13
[11] 웹 인용 라돈치치 J리그행 유력, 지방 구단도 '관심' http://osen.mt.co.kr[...] OSEN 2010-08-30
[12] 웹 인용 ‘41초’ 라돈치치, 올 시즌 최단시간 골 http://www.sportalko[...] 스포탈코리아 2010-08-30
[13] 웹 인용 인천 공격수 라돈치치 귀화 선언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0-08-30
[14] 웹 인용 인천 라돈치치 성남 전격 이적 http://sports.khan.c[...] 스포츠칸 2010-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